728x90

분류 전체보기 27

3월달 어디에 투자할까요?

벌써 새해가 시작된 지 2개월이 넘었네요. 나스닥이나 비트코인 위주로 투자했던 분들이라면 아마 큰 재미를 보시긴 어려웠을 것 같습니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상당히 불안정하고 리스크가 동반되는 상황이 자주 펼쳐지다 보니 시장도 크게 호응을 못하는 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지정학적 리스크도 있고 하락장의 초입이라 생각하는 사람도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큰 손들의 포트폴리오를 정확히는 알기 어렵지만 안전자산 쪽 비중을 높이는 것이 어느 정도 보고되고 있는 바, 당분간은 비바람을 피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 보입니다.떨어질 것이다라고 예측한 사람들이 하락에 배팅하지 않고 안전자산 쪽으로 간 이유는 간단합니다. 숏 타점을 찾는 건 어렵기 때문입니다. 크게 뺄 때는 원 웨이로 한 번에 쭉 빼기에 상승에 배팅하는 것..

투자 2025.03.11

유아이패스 기업분석

UiPath 기업 분석 및 재무 평가: RPA 시장 리더십과 주가 전망UiPath는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분야에서 기술 리더십을 확보한 기업으로, 최근 AI 기반 솔루션 확장과 글로벌 시장 공략을 통해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 회계연도 3분기 매출 3억 5,500만 달러(전년 대비 9% 상승)와 연간 반복 수익(ARR) 16억 7,000만 달러(17% 성장)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 GAAP기준 영업이익 5,000만 달러와 16억 달러 규모의 현금 보유액은 재무 건전성을 입증합니다만, GAAP 기준 4,300만 달러 운영 손실과 주가 변동성은 투자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기업 전략 및 시장 포지셔닝AI 통합을 통한 제품 경쟁력 강화..

투자 2025.03.05

3/2 리플 급등이유 분석 - 테더

리플(XRP) 급등의 직접적 요인1.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적 암호화폐 비축 발표3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을 통해  "미국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 는 코멘트를 남겼습니다. 이런 목표 하에 XRP를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를 국가 전략 비축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리플의 글로벌 결제 수단으로써의 위상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발표 직후 XRP 가격은 대략 24시간 동안 31.37% 급등해 2.79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XRP를 미국의 금융 전략에 통합함으로써 달러 기반 결제 시스템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2. SEC 항소 철회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존 리드 스타크 전 SEC 국장은 리플과의 소송에서 SEC가 항..

투자 2025.03.03

비트코인 하락과 그 배경 - 호황기는 끝?

BTC는 현재 85,000 달러 선에서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한 때 10만 달러를 넘겼는데요. 그에 비하면 거의 20% 이상 하락이 발생하였습니다. 급격한 하락은 '저점매수'라는 일반적인 반응을 촉발시켰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도세는 여전히 강해 일부 전문가들은 80,000달러 초반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트럼프 효과"는 2024년 11월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승리로 촉발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그 모멘텀이 약화되기 시작했습니다. 바야흐로 11월 초 비트코인은 약 $68,300선에서 거래되고 있었습니다. 그때 트럼프가 미국을 "지구의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고 비트코인을 정부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겠다는 약속 이후 $100,000를 돌파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투자 2025.02.27

앵겔지수와 먹거리 물가

앵겔지수란엥겔지수는 가계 총소비지출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19세기 독일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Ernst Engel)이 제안한 "소득 증가 시 식료품 지출 비중 감소" 법칙에 근거합니다. 엥겔지수=(식료품비 / 총 소비지출) ×소비지출))× ×100라는 공식을 통해 도출됩니다. 25% 미만: 고소득층 / 25~30%: 상위 소득계층 / 30~50%: 중산층 / 50~70%: 저소득층 / 70% 이상: 극빈층정도로 해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순히 이 수치만 보실게 아니라 다음고 같은 맥락들을 고려하셔야 합니다.물가 변동 민감성: 식품물가 상승은 저소득층의 가용소득을 급격히 축소시킵니다. 대한민국 저소득층의 경우, 식료품비 증가로 인한 가용자금 감소율이 고소득층 대비 4.8배 높았습니다.소비구조..

카테고리 없음 2025.02.26

M7 지금이 구매 타이밍? - 테슬라

전에 올린 포스팅에는 지금 하락이 단순 조정일 것이다로 글을 마무리했습니다. 그럼 약간 거품이 꺼진 뒤 올라갈 여력이 있다고 생각하기에 사야 하는 타이밍이 언제인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글 시작 전에 말씀드립니다. 이건 제가 가진 생각으로 전 이렇게 투자할 생각이 있습니다만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는 권유드리지 않습니다. 초보가 분석해 봐야 유명한 분들에 비하면 많이 미흡하고요. 보조 지표도 몇 개 안 씁니다. 외부 리스크에 대한 분석은 배제한 차트이기에 추천드리지도 권유드리지도 못하겠습니다. 단지 이렇게 투자하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차트 분석참고할 보조지표는 이동평균선, MACD, RSI, 볼린저 밴드입니다. 워낙 유명한 지표이기도 하고 어떤 것들인가에 대한 설명은 과감히 생략하도록..

투자 2025.02.26

S&P 500 하락 - 폭락의 시작인가?

일단 차트부터 보시겠습니다. 년 단위로 봤을 때는 사실 하락이라고 보일 것도 없는 수준입니다. 2월 25일은 기준으로 S&P 500은 0.5% 하락하며 4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소비자 신뢰 지수의 약세와 일부 주요 기술주들의 부진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경제 성장 둔화를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시장은 일반적으로 10%의 조정을 겪는다고 합니다. 그런 부분에서 봤을 때 이 정도는 아직까지는 단기 조정의 영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50일 이평선 밑으로 지수가 떨어지며 단기적인 약세가 발생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월마트 편을 읽고 오셨다면 미국의 소비력이 전년만큼 좋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5.02.22 - [투자] - 월마트와 경기 월마트와 경기월마트는 아시다..

투자 2025.02.26

트론(Tron) 네트워크와 테더(USDT)

이번 글은 아래 테더에 관한 글에 대한 후속 편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1편을 읽지 않고도 이번 글을 이해하시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2025.02.11 - [투자] - 테더(USDT)에 관해 테더(USDT)에 관해테더(USDT)란?테더는 Tether Limited라는 발행사에서 달러에 페그 시킨 토큰입니다. 즉 이 회사의 주장대로면 1 테더는 1달러의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페그(peg system)란? 특정 국가의 통화에jongsok.tistory.com전통적인 법정화폐의 이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동합니다. 물론 코인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됩니다. 하지만 둘에게는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를 통해 이해하기 좋게 도와드리겠습니다.1. 공통점(1) 국경 간..

투자 2025.02.24

고령화 사회와 헬스케어 - 바이오테크 1편

일단 선진국 중 고령화된 정도를 그래프로 보여드리겠습니다.이제 대한민국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는데요. 그럼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사람들의 평균 나이가 증가했을까요? 위 그래프는 중위연령을 나타낸 것입니다. 50년 전에 비하면 중위연령이 많이 올라왔죠.선진국 대부분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특히 동아시아의 일본과 한국은 유독 더 많이 늙은 국가죠. 미국의 경우 이민이 활발하게 들어오고 불법입국도 많아 출산율이 좀 낮더라도 유입으로 인해 전체 국가가 늙어가진 않습니다. 하지만 이 동아시아는 미국이나 다른 유럽권 국가에 비해 이민자 수도 적고 출산율도 낮은 편이라 고령화가 더 빠르게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고령화 시대에 더불어서 바이오테크 기업 중 유망한 종목은 뭐가 있는지..

투자 2025.02.22

월마트와 경기

월마트는 아시다시피 경기방어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근데 2/20일에 왜 폭락했을까요?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1. 월마트 주가 폭락의 직접적 원인1.1. 보수적인 실적 전망의 충격월마트의 2024년 4분기 매출은 1,805억 5,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1,798억 5,000만 달러)를 0.4% 상회했으며, 주당순이익(EPS)도 66센트로 컨센서스(64센트)를 넘어섰습니다. 온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20% 증가하며 디지털 전환 성과 또한 입증했습니다. 하지만  2025년 매출 성장률을 3~4%로 제시한 점에서 투자자들의 실망을 자아냈습니다. 이는 전년도 9.7% 성장률 대비 급격한 둔화로,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강화 정책이 마진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됐습니다..1.2. 정책적..

투자 2025.02.22
728x90